아시아실잠자리

사진이야기 2017. 3. 10. 10:19 |

나이지리아에서 풀숲을 지나다보면 종종 만날수 있는 아시아실잠자리입니다.

어렸을적 길가에 핀 코스모스 사이로 앉아있는 이 잠자리를 잡고 놀던 시절이 있어서 그런지 이놈을 보면 반가움이 먼저 앞섭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분포지역이 주로 아시아권인데 실제로 이놈은 중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발견이 됩니다. 

이정도면 글로벌실잠자리로 봐도 무방할 듯 싶네요. ^^

 

 

[아시아실잠자리]

유충의 몸길이 20mm 내외로 갈색 또는 짙은 갈색을 띠며, 서식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머리는 끝이 둥근 오각형으로 폭이 넓으며, 크고 둥근 겹눈은 앞쪽 모서리에 위치한다. 더듬이는 7마디로 머리길이의 1.5배정도 된다. 아랫입술 중편강모는 5쌍이고, 측편강모는 6쌍이다. 배는 가늘고 길며, 등에 갈색 반점이 많다. 기관 아가미의 가운데에는 1개의 갈색 가로줄무늬가 있으며, 폭이 좁고 가늘다. 수생식물이 많은 연못이나 저수지 등에서 볼 수 있다.

성충은 몸길이 20~25mm 정도이다. 어른벌레의 몸은 초록색인데, 암컷은 개체에 따라 초록색과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눈 뒤쪽의 무늬가 작고 둥글며, 앞어깨에는 가늘고 긴 검은 줄무늬가 있으며, 배의 등쪽은 검은색이다. 암컷은 수생식물이나 쇠뜨기 같은 식물에 알을 낳는다. 암컷성충의 산란관은 제10배마디 너머까지 뻗어있다. 계곡의 연못이나 습지, 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먼거리를 이동하기도 한다.

번데기 시기를 거치지 않는 안갖춘탈바꿈을 한다. 잠자리의 짝짓기는 수컷이 암컷 위에서 나란히 날다가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로 암컷의 가슴을 잡고, 앞다리는 암컷의 더듬이 제1마디를 잡는다. 그후 수컷은 배를 구부려 배끝의 부속기를 암컷의 앞가슴 뒤나 목부분을 잡아 연결해서 날다가 적합한 곳에 앉은 후 수컷은 배를 수축시켜 생식기로 암컷의 머리와 더듬이를 마찰시키면 암컷은 배를 구부려 짝짓기를 한다.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사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검정쌍살벌  (0) 2017.03.10
아프리카 메뚜기  (0) 2017.03.10
쥐손이풀  (0) 2017.03.10
남아공 잠자리  (0) 2017.02.24
조팝나무  (0) 2013.07.30
:

쥐손이풀

사진이야기 2017. 3. 10. 09:44 |

휴일 아침 오랜만에 아이들과 산책을 나왔습니다.

담장밑 양지바른 곳 호박잎 밑으로 수줍게 피어있는 꽃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처음보던 꽃이었는데, 그동안 너무나 흔한 곳에 피어서 나의 발걸음이 그를 몰라보고 지나쳤나봅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이름이 쥐손이풀이더군요.

작지만 자랑스런 한국의 꽃 귀엽고 이쁘네요. 

 

 

[쥐손이풀]

산과 들에서 자란다. 1개의 굵은 뿌리가 있고, 줄기는 길이가 30∼80cm이며 비스듬히 또는 옆으로 뻗고 가지가 갈라지며 잎자루와 함께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며 폭이 4∼7cm이고 손바닥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3∼5개이고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깃꼴로 깊이 패어 들어갔다. 턱잎은 서로 떨어지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달리는데, 위쪽에서는 1개씩 달리고, 아래쪽에서는 2개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약 10m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붉은 색 또는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가 4mm이며 3개의 맥이 있고 작은꽃자루와 함께 털이 있다.

암술머리는 길이가 1mm 정도이고, 열매는 삭과이며 곧게 서고 5개로 갈라지며 긴 털과 잔털이 빽빽이 섞여 있다. 한방에서는 식물체와 열매를 현초()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마비·관절불리·타박상·이질·만성설사·장염·피부가려움증·옴·악창에 효과가 있다. 한국·중국·일본·시베리아·북아메리카·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 메뚜기  (0) 2017.03.10
아시아실잠자리  (0) 2017.03.10
남아공 잠자리  (0) 2017.02.24
조팝나무  (0) 2013.07.30
금낭화  (0) 2013.07.30
:

아침이 오지 않는 밤은 없습니다 / 詩 이채



어둠 속의 별은
스스로 빛을 발하는 사람에게만 별인 것입니다.
고난 속의 희망은
스스로 일어나는 사람에게만 희망인 것입니다.
그 밤의 어둠이 절망이라면
그 절망에서 깨어나는 희망은 아침입니다.


성공만이 인생의 철학은 아니지요.
실패해도
또 실패해도 좋은 것은, 먼 훗날
실패도 삶의 업적이 될 수 있으니까요.
상실로부터 얻어지는 교훈은
변화와 성숙을 위한 자산이며 유산입니다.
그러므로 실패라는 말은
시작이라는 말의 또 다른 언어이기도 합니다.


실패로 인한 고통이
불면의 긴 밤과
자학의 깊은 밤이 될지라도
좌절하거나 포기하지는 마십시오.
실패는 단지 오르기 위한 계단에 불과하며
삶의 터널을 지나는 과정이며 훈련일 뿐입니다.


정직한 실패는
물질이 정신을 파괴하지 않으며
현실과 이상을 분리하지 않습니다.
모든 나로부터 내가 자유로울 때
어둠이 걷히듯 두려움은 사라지지요.
그때 밤은 진리이고
아침은 정의라는 것을 깨닫게 되지요.


다만 눈을 감는 것은
다만 눈을 뜨기 위함이라는 것도..
왜냐하면
아침이 오지 않는 밤은 없으니까요.

'좋은글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날의 회상  (0) 2017.03.10
석양 / 정연복  (0) 2017.03.10
다른 길은 없다  (0) 2017.03.09
사라지는 침묵 속에서  (0) 2017.03.08
내가 살아보니까  (0) 2017.03.07
: